티스토리 뷰
2차전지 배터리 테마주 정리 및 투자 전략 관점 핵심 정리 🧷
친절한😎상추§ 2021. 5. 4. 21:281. 2차전지 배터리 테마주 정리 (투자 전략 요점 핵심 정리)
이번 글에는 2차 전지 배터리 테마주 관련해서 리서치한 내용과 투자 전략을 적어보려고합니다. 사실 제가 두고두고 보면서 투자 전략에 사용할 예정입니다만, 어쩌다가 방문하신 분들도 도움이 꽤 될것입니다. 🤨
2차전지라 함은 1차 전지에 반하는 것인데 1차전지는 1회 충전후 1회 사용하면 버려지게 되는데 2차전지는 계속해서 충전해서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미 스마트폰 등에 적용됬지만 특히 중요한건 전기차에 적용이 된다는 것이죠.
이 글에서 언급하는 투자의견은 개인적인 내용이며, 투자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다는 점 꼭 명심해주시면 좋겠습니다.
1.1. 2차전지 종류
2차전지의 종류만 해도 여러가지인데, 예로 납축전지, 니켈카드뮴전지, 리튬이온전지, 니켈수소전지, 리튬폴리머전지 등이 있으며 이를 전부 관련주로 통일해서 리서치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위에 나열한 전지 외에도 국내외로 (카이스트 등) 계속해서 2차전지에 대한 효율적인 화학식을 조사중이며 논문과 아이디어들이 쏟아져 나오고있습니다. 그러므로 종류는 계속해서 발전할 수 있으니 향후 전망은 아주 좋을것이라봅니다.
2차전지 시장성 알아보기
2차전지의 시장성만해도 스마트폰, 전기차 이외에도 노트북, 카메라, 하이브리드자동차 에너지 저장용 저장탱크 등의 대형 시장으로 분류되게 되는데 그러므로 주요 테마주들 또한 여러 분야로 나눠볼 수 있겠죠.
실제로 예상되는 투자 시장 규모를 조사한 바는 아래와 같습니다.
20년 시장 투자 규모 예상 | |
소형전지 | 220억 달러 |
전기차 | 967억 달러 |
전기차 | 약 100조원 |
에너지 저장용 탱크 | 257억 달러 |
위에 보이는 투자규모는 연간 몇백조원이 넘어가는 투자규모입니다. 때문에 돈이 몰리는 곳에는 돈을 벌 수 있는 기회가 있기 마련입니다. 특히 전기자동차 전용 2차전지는 가솔린엔진이 한물 가게되면서 슬슬 시동을 걸고있습니다.
테슬라의 주가가 많이 올랐다 한들 관련 테마주들의 앞날은 아직 시작에 불과합니다. 그만큼 성장성을 높이 기대해볼 수 있다고 보는것이죠. 이제는 주유소마다 전기차 배터리 충전소가 설치되고 있으니 말 다했죠?
2차전지 4대 핵심 소재 및 부품
2차전지가 사용하는 TOP4 핵심 소재와 부품은 아래와 같습니다.
- 양극제
- 음극제
- 전해질
- 분리막
여러분들도 위 소재부품을 눈여겨 보시고 잘 기억해 두셨다가 특정 기업이 해당 사업을 추진한다고하면 빨리 솎아낼 수 있도록 한는것이 빠른 종목 선점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2. 2차전지 관련주 투자관점
투자에 앞서 꼭 집고 넘어갈 투자관점입니다. 세계적으로 미세소형 전지 시장의 발전은 계속해서 성장세를 보이며 주도국은 대한민국과 일본이 두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초대형 및 대형전지의 전기자동차에 주로 사용되는 사업에 대해서는 초초초 고성장을 예측하고 있으며, LG화학 / 삼성SDI / SK이노베이션 등의 국산기업 전기차 전용 전지 기업들이 세계시장을 선도해 나갈것으로 보고있습니다.
때문에 국내 증권사에서도 핵심적인 테마주의 로테이트는 유지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하지만 관련기업 손익인 EV parity 관점 (엔진가격 + 연료가격 = 배터리가격 + 전기요금) 이 도달하는 부분이 어느때일지가 큰 포인트일 것으로 파악됩니다.
2차전지 사업과 부품핵심 업체 현황
소재 관련 주식 | 부품 관련 주식 | 2차전지 관련 주식 |
1. 전구체: 엘앤에프 2. 전해질: 후성 |
1. 양극제: 앨엔애프, 에코프로, 한화케미칼, 휘닉스 소재 2. 분리막: 에스케이이노베이션 3. 전해액: TSC멤시스, 솔브레인 4. 음극제: OCI머터리얼즈, 포스코켐텍 |
SK 에너지, LG 화학, 삼성 SDI |
3. 2차전지 테마주 정리
바로 2차전지 테마주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3.1. LG화학 : 051910
첫 번째 관련 테마주는 LG화학으로 자동차용 이차전지 세계 선두기업으로 자리잡고있는 기업이죠. 2015년도에는 매출 비율이 석유화학 73%(국내 2위로 알고있음), 리튬2차전지가 14.3% 등으로 전기차용 리튬이온전지의 비중이 커지고 있습니다.
2차전지(배터리) 종목에서 100조원으로 체결되는 시장크기 중에 점유율이 무려 20%를 유지하고 있고 이는 세계 1위를 목표로하자는 전략이 내부에서 흘러나오고 있는 상황입니다.
과거이력 판매량 기준으로 전세계 전지자동차용 배터리 시장의 점유율에서 5위를 차지한 바 있습니다. 참고로 말씀드리자면, 국내기업중 6위는 삼성 SDI 8위는 SK 이노베이션입니다. 1,2,4위는 모두 일본기업에서 차지하였고 3위는 중국기업이 가져갔네요.
주요 고객사로는 현대 기아 자동차, GM, 르노 포드 , VOLVO 미쓰비시 등의 자동차 회사를 고객사로 가지며 이미 완성 자동차 업계상 납품계약 체결이 완료된 상태로 보고되어지고 있습니다.
팩트만 정리해서 전달드리자면 미국 미시건주에 홀랜드부근 전기차 배터리 공장 준공을 시작하였으며 중국 난징에 위치하고있는 180,000대 분량의 2차전지 배터리 공장의 중공이 이력에 시작된 것으로 보여지고 있습니다.
2015년에는 에이이에스 에너지 스토리지 및 2020년 목표 1GWh 규모의 ESS 배터리 공급을 계약하는 협상을 진행하였고 이 규모는 자본가치로 삼천억에서 1조규모로 보여지고 있습니다.
3.2. 삼성SDI : 006400
삼성계열 삼성SDI는 예로부터 소형 2차전지를 세계 출하량 1위까지 올린 유일한 기업으로 자동차 전용의 폴리머 전지 또한 생산하고 있습니다. 매출액 비중으로는 소형전지가 약 41% 그리고 ABS/PC 멤브레인이 35% EMC 등 외가 약 21%로 집계되었습니다.
자동자 부품을 납품하는 업체로 유럽에 있는 보쉬가 세계 1위인데요? 삼성SDI는 보쉬와 협업하여 SBI리모티브 회사를 설립하였고 미국의 BMW 델파이 등과 같이 배터리를 자동차에 납품하기 위한 공식 계약을 체결한바있습니다.
참고로 하나 덧붙이자면 2차배터리 파트에서 20년 시장규모의 총합 백조원 중에 LG화학하고 동일한 위치인 20% 점유율을 목표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또한 전세계 규모 시장에서 약 3.2조원을 차지하는 에너지 저장 System인 분야에서도 최고조가 되기를 목표삼아 공격적으로 투자하고 있다고합니다. 또 순수 전기차를 위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차 35만대를 공급하였습니다.
유럽과 일본을 통틀어 북미까지 삼성SDI와 공급계약을 체결한 상황으로 많이들 알고 계시는 중국시안 양산장에서의 배터리 공장 준공이 알려져있습니다.
3.3. SK이노베이션 : 096770
키워드는 하이브리드와 전기자동차 2차전지를 생산하는 기업입니다. SK에너지 리튬이온 배터리는 순수 전기자동차 전용으로 사용되며 1회를 충전하면 약 170km 정도 주행이 가능하고 시속 140km 및 급속 충전할 경우 80%에 20분이면 충전이됩니다.
우리나라 서산지역에 70,000평 규모의 공장 배터리를 양산하고 있고 이미 생산도입에 들어간 상태입니다. 고객사로는 미쓰비시 후소-독일, 벤츠, 현대차 기아차 와 계약을 체결한바 있습니다.
분리막에 해당하는 2차전지 소재를 국내에서 최초로 만들어낸 놀라운 기록도 보유하고 있습니다.
3.4. EIG DRB 동일 : 004840
국내 비장상 자회사로 알려진 EIG는 DRB의 자회사로 리튬이온플러머에 해당하는 2차전지를 양산하고 있습니다. 이미 인도의 타타차와 팔백억 크기규모에 해당하는 2차 전지 납품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3.5. 한화케미칼 : 009830
리튬 2차 전지 배터리용 양극재 소제를 큰 규모(육백톤)로 생산하며 최고 매출 비중으로 약 50%, 태양열 28%, 가공 21%로 14년 부터 시작된 폴리실리콘에 해당하는 원자제를 여수에서 10,000톤 규모로 양산을 돌리고 있습니다.
4. 기타
후성 : 093370 - 전해질을 위주로 CDM 사업에 공격적으로 나서고 있고 필수 소재인 육불화인산리튬을 생산하는 대한민국 유일 업체로 알려져있습니다.
솔브레인 : 036830 - 전해액 생산업체로 SDI삼성과 스마트폰, 태블릿 등 에 사용되는 배터리를 공급합니다.
엘엔에프 : 066970 - 2차전지의 양극화물질을 납품하고 있고 이 양극활물질을 고객사로 LG 및 삼성사에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 이랜텍(054210), 파워로직스(047310), 코스모신소재, 휘닉스소재, 서원인텍 등이 해당 분야에서 테마주로 적용되고 있습니다.